후안무치(厚顔無恥) 깊이 알아보기
1. 한자 뜻과 의미
- 厚 (두터울 후): 두껍다. 여기서는 '얼굴 가죽이 두껍다'는 뜻으로, 뻔뻔함을 나타냅니다.
- 顔 (얼굴 안): 얼굴, 체면, 명예를 뜻합니다.
- 無 (없을 무): 없다. '부끄러움이 없다'는 뜻으로 쓰입니다.
- 恥 (부끄러울 치): 부끄러움, 수치심을 뜻합니다.
따라서 **후안무치(厚顔無恥)**는 얼굴이 두꺼워 부끄러움이 없다는 뜻으로, 뻔뻔하고 수치심을 모르는 사람을 가리키는 고사성어입니다. 쉽게 말해, '철면피' 와 같은 의미입니다.
2. 유래
후안무치는 시경(詩經) 소아(小雅) 교언(巧言)에서 유래했습니다.
옛날 중국 하나라의 계왕(桀王)에게는 태강(太康)이라는 아들이 있었는데, 그는 정치를 돌보지 않고 사냥에만 빠져 살았습니다. 결국 이웃 나라 유궁(有窮)의 후예(后羿)에게 나라를 빼앗기고 쫓겨나 비참하게 죽었습니다. 이를 본 태강의 다섯 형제들은 나라를 망친 형을 원망하며 번갈아 가면서 노래를 불렀는데, 그중 막내가 부른 노래에 다음과 같은 구절이 있습니다.
"巧言如簧(교언여황) 顏之厚矣(안지후의)"
"교묘한 말이 마치 쇠붙이를 녹이는 듯하니, 그 얼굴 참으로 두텁구나!"
이 구절에서 '안지후의(顔之厚矣)'가 후안무치의 유래가 되었습니다. 즉, 태강이 자신의 잘못을 반성하지 않고 뻔뻔한 태도를 보이는 것을 비판하는 내용입니다.
3. 후안무치가 사용되는 상황
- 자신의 잘못을 인정하지 않고 변명하거나 숨기려 할 때
- 잘못을 저지르고도 반성하지 않고 오히려 큰소리칠 때
- 남에게 피해를 주고도 미안해하지 않고 뻔뻔하게 행동할 때
- 사회적 규범이나 도덕을 무시하고 제멋대로 행동할 때
- 약속을 어기고도 당연하다는 듯 행동할 때
- 거짓말을 하고도 능글맞게 행동할 때
- 잘못을 저지른 후에도 죄책감을 느끼지 않을 때
4. 후안무치의 교훈
후안무치는 부정적인 의미를 담고 있는 고사성어입니다. 이를 통해 우리는 다음과 같은 교훈을 얻을 수 있습니다.
- 자신의 잘못을 솔직하게 인정하고 반성하는 자세를 가져야 합니다.
- 잘못을 했으면 책임을 지고, 피해를 준 사람에게 진심으로 사과해야 합니다.
- 부끄러움을 알고, 사회적 규범과 도덕을 지키며 살아야 합니다.
- 다른 사람의 비판을 겸허하게 받아들이고, 스스로를 돌아보는 자세를 가져야 합니다.
- 정직하고 성실하게 살아야 하며, 자신의 행동에 책임감을 가져야 합니다.
5. 현재의 우리나라의 상황
- 자신의 발언에 대한 책임 회피: 정치인이 과거에 했던 발언이나 약속을 어기고도, "기억나지 않는다", "맥락을 잘못 이해했다" 등의 변명으로 일관하며 책임을 회피하는 경우, 후안무치하다고 비판받을 수 있습니다.
- 부정부패 의혹: 부정부패 의혹을 받는 정치인이 증거가 드러났음에도 불구하고, "억울하다", "정치적 공세다" 라며 혐의를 부인하고 반성의 기미를 보이지 않을 때, 후안무치한 태도라는 비판을 받을 수 있습니다.
- 국민을 기만하는 행위: 국민의 이익을 저버리고 자신이나 특정 집단의 이익만을 추구하는 정치인, 또는 선거 때는 온갖 감언이설로 유권자들을 현혹하고 당선된 후에는 약속을 지키지 않는 정치인들을 후안무치하다고 비판할 수 있습니다.
- 막말과 비하 발언: 정치적 반대파나 특정 집단에 대한 혐오 발언, 또는 막말로 사회적 물의를 일으키고도 사과하지 않고 오히려 적반하장으로 나오는 정치인들을 후안무치하다고 비판할 수 있습니다.